[반박문]당연한것이 당연해 보이지 않은 현실
본문쓴이
2024-03-27
나의 이득을 위해서는 누군가는 불이익을 받아도 된다는 우매한 생각
>>> 경제적 이기심에는 타인의 불이익은 생각하지 않는다.
오로지 나의 이해타산만 따지는 것이지.
억울하겠지만 경제학 기본 이론을 조금만 들여다 봐도 아는 내용이다.
후배들이 선배들 돈 더받지말라고 반대해달라고하나?
>>> 맞다. 선배들 돈 더 받지 말라고 반대한 적은 없다.
다만 선배들에게 강요하는 선택이 선배을에게는 불이익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호도하지 말자.
노동자 누구하나 손해를 보는 안건에 대해서는 똘똘뭉쳐 막아내고 투쟁하여 모두가 좋은 방향으로 협상을 끌어가야 함을 읍소
>>> 좋은 표현이다. 노도자 누구하나도 손해보는 일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것은 이상향적인 이론일 뿐 현실에는 전혀 도움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성과급을 정률지급하면 더받고 덜 받는 차이가 발생한다. 똑같은 일을 똑같이 했는데 정률 때문에 후배는 덜 받고 선배는 더 받는다. 이게 합당한 처사인가? 여기서 상대적인 손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우리는 설명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상과 현실에는 괴리가 따른다. 모두가 투쟁하여 좋은 협상을 하는 것은 조합에서 할 일이다. 이미 협상을 끝난 후에 개인의 선택에 이런 논리를 끌어다 붙이지 말자. 그렇다면, 당신은 조합에서 협상할 때 어떤 고민과 어떤 노력을 했는가? 이제와서 이런 소리는 하지 말자.
노동자 집단의 권익을 위해 한몸으로 움직여야하는 조합원으로써 당연히 모두의
이익이 고려되는 방향으로 가야하며 그게 불가할경우 거부를 통해
>>> 이 또한 좋은 표현이다. 그래서 조합에서 협상하는 과정에 조합원의 목소리가 들어가야 한다.
누구라도 손해를 보지않도록 함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 선배의 손해에 대해서 고민좀 해 보자. 후배는 자신의 손해에만 골몰하고 있다.
부결나서 선배가 손해 보고나면 다음 협상에 반드시 선배가 더 이익이 되는 결론을 끌어 낼 수 있다는 보장되지 않는 희망만 이야기 하지말자. 본인이 협상 주체가 아니므로 나타나지 않은 결과에 대해서 섣불리 판단하지 말자.
그리고 적어도 나는 조합 내 일부 집단에게 눈앞의 금전적 이득이 주어진다 한들 타 집단이 손해를 보게되는 상황이라면 그것을 막는것이 조합의 할일이며 당연히 지켜져야할 방향성이라 생각한다.
>>>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존중한다. 모든 조합원이 이런 생각만 갖고 있다면 좋겠다. 그럼 묻겠다.
임금이 cpi와 연동된 상황에 본인은 어떤 반대를 했는가? 당시 cpi연동 때 이번 만큼 절절하게 반대한 사실이 있는가?
선택적 분노는 하지말자. 그것도 이기심이다.
결렬시키고 우리의 단합력을 보여주면 차후의 협상에서는 우리 조합원 모두가 더 좋은방향으로 대우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
>> 위에 언급했듯이 본인이 협상 주체가 아니라면 반드시 더 좋은 결과물이 올 것이라는 섣부른 판단은 하지말자. 모든게 빠그러지고 아예 없었던 것이 되어 버리면 선배들은 오로지 손해만 보는 결과로 귀결된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다면 그 때 후베들은 어떠 ㄴ계획을 갖고 있는가? 계획이 없다면 이것도 당연하게 이기적인 생각에 불과하다. 그래서 자신의 이익에 대한 판단은 존중하겠ㄲ지만 선배들이 손해보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선배들의 반대도 존중해야만 한다.
>>> 경제적 이기심에는 타인의 불이익은 생각하지 않는다.
오로지 나의 이해타산만 따지는 것이지.
억울하겠지만 경제학 기본 이론을 조금만 들여다 봐도 아는 내용이다.
후배들이 선배들 돈 더받지말라고 반대해달라고하나?
>>> 맞다. 선배들 돈 더 받지 말라고 반대한 적은 없다.
다만 선배들에게 강요하는 선택이 선배을에게는 불이익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호도하지 말자.
노동자 누구하나 손해를 보는 안건에 대해서는 똘똘뭉쳐 막아내고 투쟁하여 모두가 좋은 방향으로 협상을 끌어가야 함을 읍소
>>> 좋은 표현이다. 노도자 누구하나도 손해보는 일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것은 이상향적인 이론일 뿐 현실에는 전혀 도움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성과급을 정률지급하면 더받고 덜 받는 차이가 발생한다. 똑같은 일을 똑같이 했는데 정률 때문에 후배는 덜 받고 선배는 더 받는다. 이게 합당한 처사인가? 여기서 상대적인 손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우리는 설명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상과 현실에는 괴리가 따른다. 모두가 투쟁하여 좋은 협상을 하는 것은 조합에서 할 일이다. 이미 협상을 끝난 후에 개인의 선택에 이런 논리를 끌어다 붙이지 말자. 그렇다면, 당신은 조합에서 협상할 때 어떤 고민과 어떤 노력을 했는가? 이제와서 이런 소리는 하지 말자.
노동자 집단의 권익을 위해 한몸으로 움직여야하는 조합원으로써 당연히 모두의
이익이 고려되는 방향으로 가야하며 그게 불가할경우 거부를 통해
>>> 이 또한 좋은 표현이다. 그래서 조합에서 협상하는 과정에 조합원의 목소리가 들어가야 한다.
누구라도 손해를 보지않도록 함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 선배의 손해에 대해서 고민좀 해 보자. 후배는 자신의 손해에만 골몰하고 있다.
부결나서 선배가 손해 보고나면 다음 협상에 반드시 선배가 더 이익이 되는 결론을 끌어 낼 수 있다는 보장되지 않는 희망만 이야기 하지말자. 본인이 협상 주체가 아니므로 나타나지 않은 결과에 대해서 섣불리 판단하지 말자.
그리고 적어도 나는 조합 내 일부 집단에게 눈앞의 금전적 이득이 주어진다 한들 타 집단이 손해를 보게되는 상황이라면 그것을 막는것이 조합의 할일이며 당연히 지켜져야할 방향성이라 생각한다.
>>>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존중한다. 모든 조합원이 이런 생각만 갖고 있다면 좋겠다. 그럼 묻겠다.
임금이 cpi와 연동된 상황에 본인은 어떤 반대를 했는가? 당시 cpi연동 때 이번 만큼 절절하게 반대한 사실이 있는가?
선택적 분노는 하지말자. 그것도 이기심이다.
결렬시키고 우리의 단합력을 보여주면 차후의 협상에서는 우리 조합원 모두가 더 좋은방향으로 대우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
>> 위에 언급했듯이 본인이 협상 주체가 아니라면 반드시 더 좋은 결과물이 올 것이라는 섣부른 판단은 하지말자. 모든게 빠그러지고 아예 없었던 것이 되어 버리면 선배들은 오로지 손해만 보는 결과로 귀결된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다면 그 때 후베들은 어떠 ㄴ계획을 갖고 있는가? 계획이 없다면 이것도 당연하게 이기적인 생각에 불과하다. 그래서 자신의 이익에 대한 판단은 존중하겠ㄲ지만 선배들이 손해보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선배들의 반대도 존중해야만 한다.